본문 바로가기
저탄고지 정보

저탄고지 소금은 저염식? WHO 하루 나트륨 권장량은?

by 저탄고지 2020. 3. 24.


안녕하세요 저탄고지 다이어트 중에 저염식? 무염식? 참 고민이 되는 부분입니다.

살 빼는 데는 저염식이 좋다~ 아니다 나트륨은 어느 정도 먹어야 된다. 

말도 많고 탈도 많은 얘깃거리인데요. 

과유불급이 오늘 포스팅의 결론일듯합니다. 

지나치면 아니한 듯 못하다. 과하면 탈이 나는 거겠죠^^




1. 소금의 어원은 ?


소금은 흔히 염화나트륨이라고도 불리며 소금의 성분은 염소(chloride)40% + 나트륨(sodium)60%로 이루어져 있는 합성 물질입니다. 저탄고지 소금 정보를 드리려고 하다 보니 많은 정보들이 있고, 그 내용을 다 적어 드리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생각해서 몇 가지를 추려서 공유해볼까 합니다.

소금의 영어 Salt(솔트)는 라틴어의 Sal(살)에서 나왔다고 하는데요. 로마시대에는 병사들의 월급을 소금으로 받았다고 하네요. 오호 놀라운 사실이죠? 지금 시대에는 월급을 소금으로 받았다가는 바로 고용노동부에 신고가 들어 갈텐데 말이죠. 우리가 알고 있는 단어인 Salary(샐러리)가 있는데요 먹는 샐러리가 아닙니다. Salary의 영어 단어 뜻이 급여, 봉급, 월급으로 되어있어 있습니다.  

예전 로마시대에서는 화폐로도 사용되었던 소금을 급여를 측정해서 주었는데, 그 라틴어가 바로 Salarium 소금을 급여한다는 뜻입니다. 즉 라틴어 살라리움에서 파생하여 만들어진 단어가 샐러리 그만큼 소금은 로마시대에 귀했다고 해요. 로마시대 이전의 그리스 시대에서도 소금은 엄청 귀했다고 합니다. 

우리가 요즘에도 쓰는 영어 표현 중에 Worth one's salt 라는 문장이 있는데요 이 뜻은 유능한의 뜻으로도 쓰이고 월급 값을 한다는 표현으로도 쓰입니다. 문장에 뜬금없이 Salt(솔트)라고 들어가 있는 것을 보면 소금은 귀한 자원이자 우리 몸에 필요한 부분이라는 뜻입니다. 



저탄고지 소금을 검색해서 봤는데 이게 무슨 궁금하지도 않은 어원을 알려주나 싶겠지만 ㅎㅎ 일단 죄송합니다. 이해해 주십시오~ ㅎ 그만큼 중요한 식품이라는 뜻을 전하고 싶었어요. 

자 그럼 이제부터 저탄고지 소금 어떤 걸 먹어야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 저탄고지 소금? 어떤 걸 먹어야 하나?


고염분 우리가 음식을 짜게 먹거나 과한 염분을 섭취하면 모든 분들이 알고 있는 고혈압 등 신진대사 기능 여러 가지에 안 좋은 것은 많은 연구와 기사 보도에 나온 것처럼 알고 계실 거라고 생각해요.

그렇다고 너무 저염식으로 한다. 그것도 우리 몸에 안 좋은 영향을 줍니다. 결론은 어느 정도 적당량을 섭취해 주셔야 건강에 좋다는 것인데요 실제 소금은 아무리 먹어도 살이 찌지 않는 무기질로 되어 있으며 생리 기능을 유지하는데 꼭 필요한 영양성분입니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하루에 소금 섭취 권장량을 소금5g 나트륨은 2,000mg로 정했는데요 이는 찻숫가락으로 한 티스푼 정도라고 얘기합니다. 

과다 염분섭취 증상

  • 고혈압
  • 위염
  • 혈관질환
  • 골다공증
  • 부종

하지만 2011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의하면 보고에 의하면 한국인은 하루 평균 2.5 티스푼 즉 소금으로 12.2g이고 나트륨으로 4796mg에 가까이 섭취하고 있다고 해요. 그 외에 다른 나라에서는 일본은 소금10.7g 나트륨 4213mg이고 영국은 소금9g, 나트륨 3600mg 미국은 소금8.6g, 나트륨 3375mg 나라들 중 한국의 소금 섭취량이 높은 것을 보고 있습니다. 

2020년의 기준으로는 더욱더 늘지 않았을까 싶네요.

우리 몸에는 나트륨 성분이 100g정도가 있고, 이것을 소금으로 따져보면 250g에 해당되는 어마어마한 수치량을 보이는데, 우리의 신체 기능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는 이처럼 필요한 성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저탄고지 소금은 어떤 걸 선택할까?

  • 천일염 100%
  • 미네랄이 다량 함유된 것
  • 불필요한 첨가물이 섞여 있지 않은 것
이 질문에는 당연히 저는 첨가물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자연 그대로 해풍과 태양을 먹음고 있는 천일염을 추천드립니다. 

그럼 시중에 파는 소금들의 원재료명을 알아보겠습니다. 국내에는 정말 많은 다양한 소금들이 있습니다. 

다 표기하여 설명하기엔 어려움이 있어서 집에 있는 소금을 보여드리겠습니다. 우선 위에 있는 3가지 소금은 천일염 100%이라 제가 저탄고지 다이어트할 때 쓰던 소금들입니다. 이 외에 히말라야 소금 마늘 소금이 있는데 보통 가정집에 있는 소금을 비교해보겠습니다.

백설 꽃소금

깨끗한 요리용 소금으로 100% 천일염을 사용했다고 표기되어있습니다.

이 꽃소금은 원재료명 및 함량을 보면 천일염100%지만 국내100%가 아닌 호주 90% 국산10% 로 되어있네요 국내 국외 따지지 않는다면 요리할 때 넣어주면 괜찮겠죠. 하지만 꽃소금은 굵은 꽃소금으로 되어있어서 솔솔 뿌리 다간 짠맛 폭탄을 느낄 수 있으니 조심하십시오.

청정원 신안섬보배 천일염 굵은 소금

이 제품은 제가 저탄고지 식단 다이어트를 할 때 주로 먹었던 소금입니다. 인터넷에서 쿠땡 인터넷쇼밍하는 곳에서 후기가 제일 많아서 구매한 제품인데 신안군에서 만든 국내산 100% 천일염입니다. 가격도 그리 비싸지 않았던 걸로 기억해요.

해리농협 천만금 볶은소금

음.. 이 제품은 제가 혼자 사는데 어머니께서 좋은 소금이라고 최근에 온 가족이 저희 집에 놀러온 적이 있어서 그 때 어머니가 이거 진짜 아주 좋은 소금이라고 주고 간 건데....

그때는 몰랐어요 소금 많은 데라고 하면서 찬장에 넣어 놨는데
오늘 저탄고지 소금 내용을 적다 보니 유통기한이 2018.10.17일이라니..
" 엄마 고마워 " 뭐 그래도 어머니의 사랑이니 감사하게 먹겠습니다. ㅎ 양치도 하고, 비강세척도 하고

그래도 이 소금에는 영양성분이 표기되어 있네요 소금 100g당 칼슘이 143mg, 칼륨 301mg, 마그네슘 980mg 마그네슘이 무려 310%라니 하지만 소금을 100g을 때려 넣고 요리를 하지 않아서 ㅎㅎ

영양소는 좋네요 유통기한만.... 아니었어도.. 


3. 피해야 할 저탄고지 소금은?


저탄고지 다이어트를 할 때 피해야 할 소금은 당연히 위에도 얘기드린 것처럼 다른 첨가물이 들어가 있는 건데요. 모든 분들이 아마 아실 거라고 생각합니다. 바로 가공소금 정제되어 있는 소금 M맛S소G금 바로 맛소금입니다. 

입자가 아주 곱네요 맛소금은 말 뜻 그대로 맛을 내기위해 향미증진제가 들어가 있습니다. 나트륨에 다른 것을 화합하며 만든것인데요. 보통 우리가 알고 있는 미원, 다시다, 스톡제품들이 향미증진제가 들어가 있습니다. 

우리가 집에서 아무리 중국집처럼 파기름을 내고 볶음밥을 해도 중국집 맛이 안난다면 볶음 밥하실 때 MSG를 한 꼬집만 넣어보세요. 중국집의 볶음밥 맛을 느낄 수 있습니다. 

저는 요리하는걸 좋아하는 남자라서 ㅎ 맛소금을 가지고 있습니다. 저탄고지 다이어트할 때는 당연히 피해야할 소금입니다. 

가공소금

첨가물을 가하여 변형한 만들어진 소금

위 원재료명을 보면 L-글루탐산나트륨(향미증진제), 리보뉴클레오티드이나트륨(향미진증제)가 들어가 있는것을 볼 수 있습니다. 
딱 보아도 첨가물이 많은 소금으로 보이고 저탄고지 다이어트에서는 좋지 않은 식자재라고 할 수 있습니다. 

4. 저탄고지 소금 결론은?


소금은 적게 먹어도 건강에 안 좋고, 과하게 먹어도 좋지 않습니다. 적당량을 잘 섭취하면서 건강한 다이어트를 하시길 바랍니다. 특히 소금은 첨가물이 없는 자연의 소금 천일염으로 추천드리겠습니다.

오늘은 저탄고지 소금에 대해서 내용을 적어 봤는데요. 사실 이 소금의 내용은 정말 무궁무진 합니다. 

나중에 다룰 저탄고지 부작용 키토플루(KetoFlu)에서도 저탄고지 다이어트하실 때 소금의 중요성이 나옵니다.

해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저탄수화물을 하시게되면 겪는 키토플루 증상들 중에 현기증, 기립성 빈혈 등이 있는데요. 당연히 탄수화물을 급격하게 줄이시게 되면 혈당이 떨어지고, 저혈당으로 인하여 수분이나 전해질 균형이 흐트러지며 일어나는 증상들인데요 이럴 때 필요한게 바로 몸 속에 전해질인 소금을 잘 섭취해주는 것입니다. 


아마 저보다 더 많은 정보를 알고계실거라 생각을 해보며, 작은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항상 건강챙기시는 건강한 다이어트 하세요^^

댓글